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콘텐츠 생산자들의 가장 큰 적은 바로 불법 복제다. 아날로그 복제품은 복제과정이 번거롭고 다소 질이 낮은 단점이 있지만, 디지털 복제품은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복제할 수 있고 품질도 정품과 같으며 확산속도도 빨라서 콘텐츠 생산자에게 큰 타격을 줄 수 있다. 이에 강력하고 체계적인 불법 복제 방지 기술이 필요해졌는데 그러한 기술들을 일컬어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디지털 권리 관리)이라 부른다. DRM은 사진, 이미지, 음악, 영화, 동영상, 게임 등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 권리관계를 관리하는 기술 및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DRM은 디지털 콘텐츠가 무분별하게 복제될 수 없도록 하는 보안 기술을 뜻하기도 한다. 넓게 보면 콘텐츠 불법 복제 방지 기술, 사용료 부과를 통한 유통 및 관리를 지원하는 서비스, 기업 내의 문서보안과 저작권 관리 기술이 포함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사용 분야에 따라 콘텐츠 보호용 DRM을 커머스 DRM(Commerce DRM)으로, 기업 보안 관련 DRM을 엔터프라이즈 DRM(Enterprise DRM)으로 구분 짓기도 한다. DRM은 크게 두 가지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에 대한 제어 및 제한을 둔다. 사용자의 콘텐츠 구매 방식에 따라 설치 횟수나 사용 기간, 양도권 등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인 사용 규칙 기술과 콘텐츠를 암호화하고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복호화할 수 있는 암호키를 제공하고 암호화된 콘텐츠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콘텐츠 암호화 기술이 그것이다. DRM은 현재 불법 복제를 막을 수 있는 가장 안전한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저작권을 지속해서 보호할 수 있으며 결제 기술, 인쇄 기술 등과 연동해 활용도를 넓힐 수 있다는 게 장점인데 사용자의 편의성을 침해하고 까다로운 사용법과 호환성 문제는 앞으로 해결해 나가야 할 부분으로 여겨진다.
커머스 DRM(Commerce DRM)
동영상이나 음악 콘텐츠들을 제어하는 DRM 기술이다. 콘텐츠 DRM은 비용을 지불한 이용자들에게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 권한을 부여하는 장치다. 때에 따라 사용 기간이나 다운로드 횟수에 제한을 두기도 한다. 국내에서 DRM이 가장 활발하게 사용되는 분야는 역시 MP3 디지털 음원이다. MP3 플레이어와 휴대폰이 결합한 휴대폰이 보급된 것을 기점으로 하여 음원의 무단 복제 및 공유로 인해 저작권 보호 논란이 일자, 이동통신사 3사는 독자적인 DRM이 적용된 음원을 유통하기 시작했다. 디지털 콘텐츠 사용자에게는 너무나 유용한 기술이지만 사용자에게는 불편감을 준다는 단점이 있었다. 타 이동통신사 사이트에서 구매한 음원은 아예 사용할 수 없거나 별도의 변환 프로그램을 통해서 파일의 형식을 바꿔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랐기 때문이다. 현재는 구형 단말기용 음원들이 DRM의 명맥을 유지하고, 스마트폰을 비롯한 신형 단말기에서 유통되는 음원에는 DRM이 없다.
엔터프라이즈 DRM(Enterprise DRM)
회사 내부에서 사용하는 문서를 제어하는 등 기업 내 정보 자산 보호에 활용되는 DRM이다. 기업용 DRM은 문서 보안이 중요한 기업들과 관공서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데 기존에는 문서에 암호를 설정하는 방법이 쓰였지만 일단 암호를 해제하기만 하면 무방비 상태에 놓인다는 점에서 완벽한 보안으로 보기 힘들었다. 반면 문서 보안 DRM은 사내 문서 시스템과 연동해 사용자를 제한하는 방법으로 기밀을 유지한다. 회사의 문서관리 시스템에 연동하여 구축하며 문서를 열람할 수 있는 사용자들을 구별해서 읽기, 수정 등의 기능을 제한하도록 한다. 또한 회사 이외에서의 접근을 막거나 제한하도록 하여 외부로의 유출을 방지하고 외부인력이 접근할 때 제한을 두어 정보의 유출을 막는 데 이용된다. 심지어 문서를 작성한 사람이더라도 권한이 없으면 삭제, 복사 등을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최초 작성자나 수정한 사람이 누구인지 확인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한다. 여기에 디지털 워터마킹(Watermarking) 기술을 결합하면 인쇄물이 유출됐을 때 유포자를 추적할 수 있다. 디지털 워터마킹은 DRM의 기반 중 하나로, 디지털 콘텐츠에 저작권자의 고유 마크를 삽입하여 문서의 위조나 변조를 막는 기술이다.
'소프트웨어 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프트웨어 버전 관리의 개념과 버전 관리 도구의 종류 (0) | 2021.11.17 |
---|---|
OSI 참조 모델(Open Systems Interconnection Reference Model)의 정의와 계층 기능 (0) | 2021.11.17 |
Secure SDLC의 개념과 각 단계별 보안 활동 (0) | 2021.11.17 |
소프트웨어 아키텍처(Software Architecture)의 정의 및 특징과 기능 (0) | 2021.11.16 |
데이터베이스의 설계(DataBase Design)의 개요와 단계 (0) | 2021.11.16 |
댓글